1. 작가에 대하여

[김만중]

[생애 및 활동]

김만중은 1637(인조 15)년에 김익겸과 어머니 윤씨 부인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호는 서포이며 56세에 유배지에서 생을 마쳤다.

-그의 아버지 김익겸은 병자호란 때, 강화에서 김상용을 따라 순절하였고 이에 김만중은 유복자로 태어났다. ( '유복자'란 아버지가 죽은 뒤에 태어난 자식을 뜻하는 말이다. )

-김만중은 29세에 장원 급제하였으며 35세때에는 유배를 가기도 하였다. 43세 때에 다시 '예조참의'에 등용되고 '대사헌', '의금부 판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53세에 '인현왕후' 폐비론에 반대하다가 또 다시 남해로 유배되었으며 56세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김만중은 시문을 모은 《서포집》과 잡문을 모은 《서포만필》을 지필하기도 하였으며, 소설 <구운몽>, <사씨남정기>, <윤씨부인 행장> 등을 썼으며,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는 한글소설로도 창작되었다. 그는 소설을 부인들의 글로만 인식하던 시대에 소설의 가치를 인정한 인물이기도 하다. 

2. 작품에 대하여

<구운몽>

  • 주제: 공명과 부귀가 일장춘몽(一場春夢)이라는 인생무상이다.
  • 주요 등장인물 : 성진, 육관대사, 8 선녀가 등장한다.
  • 시대적 배경: 중국의 당나라 시대이다.
  • 공간적 배경: 중국의 형산 연화봉이다.

<구운몽>은 조선시대 숙종 때에 김만중이 지은 소설이며, 조선 후기의 <옥류몽>, <옥련몽>과 같이 '몽자류 소설'에 영향을 주기도 한 작품이다. 이 소설은 효성이 지극했던 지은이가 어머니를 위해 지은 소설이다.

-<구운몽>에서는 유교의 현실적인 공명주의와 불교의 은둔사상과 도교의 향락주의가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는 작품이다. 주인공 '성진'을 통하여 국가와 군왕에게 충성을 다하는 유교적 공명(功名)주의를 기본으로,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꿈에서 깨어나는 이야기로 불교의 무상(無常)주의와 허무주의를 일장춘몽(一場春夢)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즉, 인간사의 부귀영화는 일장춘몽이라는 것을 유, 불, 선 사상을 소재로 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남가일몽(南柯一夢)`과 불교의 `허무주의`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소설 <구운몽>은 기존의 양반 위주의 성격이 강한  '시가문학'에서 벗어나서 평민적 성격이 강한 소설 문학이 발전하는 계기가 된 작품이다. 또한, <구운몽>은 한문 소설과 함께 한글 소설로도 쓰여 있어서, 우리 국문학의 발전사에 있어서 새로운 문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작품이다.

[소설의 전개]

당나라 때 육관 대사가 중국의 형산 연화봉에 은거하여 살고 있었다. 육관대사의 제자 '성진'이 스승의 명으로 동정 용왕에게 갔다가 석교(石橋)에서 여덟 선녀를 만나고 희롱하다가 돌아왔다.

-이 일을 알게 된 육관대사가 대노하여 성진과 8 선녀를 염라대왕이 있는 지옥으로 보내 벌을 받게 한다. 염라대왕이 이들을 가엾게 여겨서 용서하고 인간 세계로 보낸다. 성진은 희남 땅에 살고 있는 양 처사의 아들인 '양소유'로 환생하고, 8 선녀의 후신은 각 지역의 여러 계급의 여자로 태어난다.

-소년에 장원급제한 '양소유'는 변방의 난을 평정하고 천자로부터 연왕에 임명되어 부귀공명과 일세 향락을 누리며 8선녀의 후신과 인연을 맺어 화려한 삶을 살았다. 나이 들어 벼슬에서 물러난 후, 8 부인과  더불어 살던 중에 고승이 찾아와 그와 문답을 나누는 중에 잠에서 깨어난다. 그리고서는 육관 대사 앞의 자신을 발견한다.

-본래의 성진으로 돌아와서 부귀영화란 하룻밤의 꿈과 같은 것임을 깨닫고, 그와 함께 했던 8 선녀도 육관 대사에게 가르침을 구한다. 이들에게 육관 대사가 설법을 베푸니 성진과 8 선녀는 본성을 깨우치고 큰 깨달음을 얻어 극락세계로 돌아간다.

['성진'과 '8 선녀'의 관계]

'성진'과 '8 선녀'는 환생하여 부부의 연을 맺고 살아가게 되는 데, 작가가 살던 시대의 가족 형태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일부다처제'의 가족 형태에는 아무런 비판의식이 없고, '성진'과 '8 선녀'가 희롱하였다는 애정 행동에 대해서만 비판의식을 가지고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주인공 '성진'의 꿈]

<구운몽>은 성진이 육관 대사의 심부름을 다녀온 낮시간 - 성진이 '양소유'가 되어 꿈을 꾸는 밤의 시간 - 꿈에서 깨어나는 새벽의 시간으로 일련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성의 특징을 하고 있다.

-주인공 '성진'의 낮과 새벽 시간 사이에 밤 시간의 '꿈'을 통하여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것을 입체적 방식으로 전하고 있다. 이는 근, 현대 소설에서 볼 수 있는 액자형 소설의 형태와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작가의 글의 구성 능력을 엿볼 수 있다.

['용궁'과 함께 나타나는 다른 차원의 세계] 

소설 <구운몽>은 가상 소설이기도 하다. 용왕이 사는 용궁과 함께 인간의 환생을 다루고 있으며, 큰 깨달음을 얻은 후에는 극락세계로 갈 수 있다는 판타지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소설이다.

-또한, 선과 악의 결과에 따른 지옥과, 극락 세계로 각각의 행선지가 나눠진다. 이는 작가가 가진 이분법적인 세계관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사고력 기르기]

  • 소설 <구운몽>의 문학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알아보자.
  • <구운몽>에는 어떠한 사상이 반영되어 있는가 알아보자.
  • 이 소설에서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재는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자.

2019/05/24 - [중학교 추천도서와 학습] -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는 현대 문학 작품을 '시', '소설', '수필', '희곡'으로 구분한다. 그 중에서 '소설'은 가장 대중적인 산문 문학의 형태를 가지는 문학 작품이다. 소설은 '주제', '구성', '문체'의 3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하..

rbwk.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