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대 문학 작품을  '시',  '소설',  '수필',  '희곡'으로 구분한다. 그 중에서 '소설'은 가장 대중적인 산문 문학의 형태를 가지는 문학 작품이다. 소설은 '주제', '구성', '문체'의 3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하며, '인물', '사건', '배경'이 글의 내용을 구성하는 요소로 포함되어야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은 기준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소설은 시대를 기준으로 크게 고전 소설과, 근대 소설, 현대 소설로 나뉘며, 소설의 길이에 따라서, 장편소설, 중편소설, 단편소설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커다란 지역의 틀을 기준으로 동양 소설과 서양 소설로 구분하기도 한다. 지역과 시대의 두 가지 기준을 동시에 적용하여 동양고전과 서양 고전으로 나눌 수 있다. 동양고전 소설의 경우, 중국, 일본, 한국으로 더 작게 나라별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렇게 다양한 소설 중에서 고전 소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고전 소설은 소설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일대기적 형식을 지닌 이야기 글이다. 우리나라의 고전 소설을' 한국 고전 소설'이라고 부르며, 다음에 나열한 것들은 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이다.

1. '권선징악'을 주제로 삼고 있다.

그 중에서 한국 고전 소설은 주제가 '권선징악(勸善懲惡)의 내용들이 주로 많으며, 글의 전개의 대부분이 행복한 결말을 이룬다. 그리고, 다수의 한국 고전 소설은 대개 지은이가 알려지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2. 문체의 특징은 ' 운문체'와 '산문체'이다.

한국 고전 소설의 경우, 글을 이루는 독특한 문체의 특징이 나타나는데, 운율을 느낄 수 있는 '운문체'와 글 속에서만 주로 사용하는 단어가 쓰이는  '문어체'가 주로 나타난다. 일부 고전소설의 경우, 구전으로 전해진 이야기가 문자화 되어 고전 소설의 형태로 변화되어 나타날 때에  '운문체'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의 대부분이 운문체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리고, 판소리계 소설의 대부분은 근원 설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소설들이다. 아래는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과 근원 설화를 바탕으로 하는 소설을 소개하였다.

*대표적인 판소리  다섯마당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가 있다.

3. 내용전개가 비현실적이고 우연적이다.

한국 고전 소설의 또 다른 특징의 하나는 내용 전개에 있어서 다소 비현실적인 소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신화'나, '전설', '민담'과 관련된 이야기가 소설의 배경이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다. 도술을 부린다거나 자연환경을 변화시키고 다스리는 등의 비현실적인 요소들이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등장인물과 사건의 전개가 필연적인 결과가 아닌 우연에 의해서 사건이 전개되기도 한다. 우연히 어떤 사물을 가지게 되거나, 우연히 어떤 인물을 만나는 일들이 글의 전개 과정에서 필연적인 인과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4. 내용과 묘사에 과장된 표현이 많이 쓰이며 한자어의 비중이 높다.

한국 고전 소설을 읽다 보면, 사물이나 인물에 대하여 과장되고 비현실적으로 묘사되고 있는 부분들이 많다. 특히, 사물을 의인화시킨 작품들은 과장된 표현의 특징들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묘사하는 단어의 사용을 살펴보면 한자어가 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글을 읽고 쓰는 이들의 대부분이 지식인층이었기 때문에 한자어가 일반화된 표현 언어였기 때문일 것이다.

5. 사상적 배경은  .불교, 도교, 유교이다.

한국 고전 소설의 경우, 작품 속에 나타나는 '주제'의 사상적 배경은 대부분이 불교나 도교, 유교 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권선징악(勸善懲惡)'이 포괄적인 주제이기는 하지만, '불교'의 생명을 중시하는 사상이나, '도교'의 '선(禪) 사상', '유교'의 '충(忠)과 효(孝)'등의 사상들이 한국 고전 소설의 작품들에서 주제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글의 소재를 사용하여 글의 주제를 뒷받침 하고 있다.

-이상으로 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고전 소설을 이해하며, 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 등의 이야기와 구분할 수 있는 배경 지식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한국 고전 소설의 형태와 특성이 한국의 근,현대 소설의 형태와 특성를 갖추어 가는 과도기적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고전 문학 학습의 의의]

1. 고전 문학은 우리 민족의 언어적, 문화적 유산으로서 그 자체로서 알아야 할 대상이다.

2.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 사이에 내용과 형식, 표현에서 비슷한 부분이 있어서 오늘날 문학 활동에도 직,간접적인 관련이 있다.

3. 고전 문학 작품과 현재의 시각에서 거리를 두어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4. 끝으로, 세계 고전 문학의 경우 한가지 더하여서 문학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우리 문학의 특징과 연관지어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다.

[사고력 기르기]

1. 현대소설과 한국 고전소설의 차이를알 수 있다. 

2. 한국 고전 소설을 통해서 무엇을 알 수 있는가?

3. 한국 고전 소설은 한국 근, 현대 소설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