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세종 대왕의 왕명에 따라 정인지ㆍ안지ㆍ권제 등이 짓고, 박팽년 ㆍ성삼문ㆍ이개 등이 주석하였으며, 정인지가 서문을 쓰고 최항이 발문하였다.

2. 작품에 대하여 알아보자.

<용비어천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주제: 조선 왕조의 창업을 송영하고 있다.

장르: 악장 ㆍ왕조 서사시 ㆍ영웅 서사시(최초 한글 창작)이다.

지은이: 정인지ㆍ안지ㆍ권제 등이 지었다.

구성: 전 10권 5 책 125장으로, 각 장은 2절씩 구성되어 있고,  1장과 125장을 포함한 10여 장은 제외된다. <용비어천가>는 내용상으로는 서사 ㆍ본사ㆍ결사로 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식: 각 장은 2행에,  각 행은 4 구로 되어 있다. 예외로 1장이 1행 3구,  125장이 3행 9구이다. 3장부터 109장까지는 전절은 중국 역대 제왕의 업적을 칭송하고, 후절은 '목조ㆍ익조ㆍ도조ㆍ환조ㆍ태조ㆍ태종' 등의 6대 임금의 사적을 읊고 있다. 110장 - 124장까지는 물망장이라 하여'닛디 마쇼셔'로 끝맺는다.

편찬 시기: 1445년 4월(세종 27년) - 1447년 5월(세종 29년)이다.

조선 왕조의 창업을 노래한 왕조 서사시로서, 조선 왕조의 역대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기까지 6대 임금의 행적을 노래하고 있다. 조선을 건국한 육조의 사적을 찬양하고, 후대의 왕들에게 왕업의 수호를 권계하고 있다. <용비어천가>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잇는 왕조 서사시일 뿐만 아니라 건국신화의 내용도 포함한다. 영웅의 시련과 투쟁을 찬양하면서, 고대의 전통과 당대의 유교적 가치관이 조화롭게 드러나 있다.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용비어천가>는  15세기 언어ㆍ문학의 소중한 자료가 되며 특히 주석에 나타난 여진과 왜에 대한 기록은 역사연구의 소중한 자료가 된다.

<용비어천가>의 내용을 알아보자.

조선  건국의 유래가 유구함과 조상들의 성덕을 찬송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태조의  창업이 천명에 따른 것임을 밝히며 후대의 왕들에게 이를 경계하고, 후대에도 지키고 보존하여 오래도록 빚나기를 바라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전절은 역대 중국의 왕조를 찬양하고, 후절은 조선 6조의 사적을 찬양한다. 이것은 중국의 사적과 비교하여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천명하려는 의도이다. 각 장의 본문은 한글 가사로 이루어져 있고, 한역 시와 한문의 배경 설화가 뒤에 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훈민정음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본문 내용 중에서 제13장은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같은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내용이다. 제17장에서 제26장까지는 태조 이전의 4조의 사적을 기록하고 있다. 제26장은 조상이 겪은 어려움과 조선 건국의 천명을 당나라 이세민과 비교하여 밝히고 있다. 제90장에서 제109장은 태종의 업적으로, 제91장에서는 태종의 지극한 효심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용비어천가>의 형식을 알아보자.

전 10권 125장으로, 각 장이 2절 4구의 신체 양식을 보인다. 예외로 제1장은 1행 3구, 제125장은 3행 3구의 형식이다.

제1장 - 제2장: 도입부로서,  <용비어천가> 전체의 서문(프롤로그)에 해당된다. 각 장의 시적 형태는 다르지만, 서문의 역할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제3장 - 제16장: 건국의 당위성에 중점을 두고 역성혁명을 천명(하늘의 뜻)으로 합리화하고 있다.

제17장 - 제109장: 주인공 태조 이성계의 영웅성과 신성성을 나타내고, 전승 설화나 민속신앙을 소재로 하고 있다.

제110장 - 제124장: 6대의 왕조에 대한 인간적인 관점의 서술이 나타난다.

제125장: 결론(에필로그) 부분으로서, <용비어천가>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주제를 담고 있다. 제125장에서는  제1장ㆍ제2장에서의 내용과 주제를 이어서 송축하고 다시 한번 더 강조하고 있다. 

<용비어천가>의 구성을 알아보자.

서사ㆍ본사ㆍ결사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는 제1장 - 제16장이며, 조선 왕조 창업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제1장과 제2장은 개국송이다. 본사는 제17장 - 제109장이며, 조선 왕조 창업의 당위성을 구체적인 일화로 실증하고 있다. 결사는 제110장에서 제125장이며, 전대의 왕이 이룩한 왕업의 영원한 지속을 기리기 위해 후대의 왕들에게 권계하고  있다. 서사와 결사의 경우, 주제 중심의 논리적 구성을 이루고 있다. 본사의 경우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사적 구성으로 작품의 삽화 배열이 일정한 원칙에 따라서 전개되어 있으며,  서사적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 특히,  태조 이성계의 영웅적 일생은 시간적 흐름에 따르고 있으며 '역사+일화'의 구조로 되어 있다. 17장 -26장은 고귀한 혈통, 27장- 32장은 비범한 성장,  33장 - 66장은 탁월한 능력, 67장 - 89장은 투쟁에서의 승리, 90장 - 109장은 태조의 영웅상을 나타내며, 영웅 서사시로서 서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비어천가> 창제 목적을 알아보자.

<용비어천가>의 창제 목적은 첫째, 역성혁명이 천명임을 밝혀 백성들의 마음을 조선에 귀순하게 하려는 데 있다. 둘째, 임금이 된다는 것은 오랜 세월 동안 피나는 노력을 통해 덕을 쌓아 하늘의 명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후대의 임금은 어렵게 쌓은 공덕을 헛되이 하지 말아야 할 것임을 경계하고 있다. 셋째, 새롭게 창제한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증명하고, 나라의 글자로서 존엄성과 위엄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용비어천가>의 창작과정을 알아보자.

<용비어천가>는 한글로 창작하기 이전에 세종 24년 봄부터 경상 ㆍ전라 두 도의 관찰사에게 명을 내려 태조가 운봉에서 왜적과 싸우던 사적을 조사하여 보고하게 하였다. 1445년 세종 27년 정인지ㆍ안지ㆍ권제 등으로 하여금 <용비어천가>를 짓게 하였다. 세종 28년에는 훈민정음을 반포 후에 《태종실록》을 상고하여 <용비어천가>에 시를 첨가하여 넣었다. 세종 29년 2월에는 <용비어천가>에 성삼문ㆍ박팽년ㆍ이개 등으로 하여금 주석을 붙여 10권을 만들었으며, 5월에는 관현악에 맞추어서 치화평ㆍ취풍형ㆍ봉래의ㆍ여민락 등의 악보를 만들어 궁중의 연회에 쓰게 하였다. <용비어천가>는 한글 반포 이전부터 계획하여 6년 만에 완성하였고, 여기에 가사와 주석, 역사가 담겨서 이루어진 서사시이면서, 음악성까지 갖추어진 문학이다. 세종대왕은 당시 '언문'이라고 천시하던 훈민정음에다가 창업의 노래를 더함으로써 문자의 권위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용비어천가>는 이와 같이 한글 창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용비어천가>의 '용'의 의미를 알아보자.

<용비어천가>의 '용'의 의미는 왕권의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한다. 왕이 업무를 보는 조선의 '근정전'에는 용의 그림이 있다. 이곳의 황룡은 월대 동서남북에 배치되어 있는 청룡ㆍ백호ㆍ주작ㆍ현무 등 사방위 신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대개 임금은 '용'에 비유되는데, 농경중심 사회인 조선시대에 용이 승천하여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내려 이롭게 하듯이 임금이 등극하여 백성들을 유익하게 하는 것을 '용덕'이라 칭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왕의 의복에도 용의 그림을 수로 놓아 왕의 권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용비어천가>에서 조선의 목조에서 태종까지의 6대 임금을 빗대어 '해동 6룡'으로 나타내어 권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악장이란 무엇인가 알아보자.

조선 초기의 송축가로서, 궁중의 여러 의식과 행사 및 종묘의 제악 등에 쓰인 노래의 가사이다. 내용은 조선의 건국을 정당화하고 새 왕조의 문물을 찬양하며 임금의 만수무강과 자손의 번창을 축원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개국 공신들을 중심으로 많은 악장들이 지어졌다. 새 왕조의 유구한 번영을 송축한 <용비어천가>, 석가의 공덕을 노래한 <월인천강지곡>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의 효용성을 시험하고자 하는 뜻도 더해져서 지어진 장편 악장들이다. 그러나, 특권 귀족 계층의 목적성을 가진 문학이었기 때문에 향유 계층이 적었고, 문학성이 부족하여서 잠시 동안 성행하다가 성종 때 사라졌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