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에 대하여 작가 미상(작가와 연대를 알 수 없다.)

2. 작품에 대하여

  • 주제: 서로를 속이는 인간 세상을 풍자함과 동시에 분수에 넘치는 행위에 대한 경계
  • 등장인물: 토 선생(토끼), 별 주부(자라), 동해 광연 왕(용왕), 문성 장군(문어), 귀위 선생(거북이), 달 첨지(너구리) 
  • 배경: 동해 바다 속 용궁과 토끼가 사는 육지

<토끼전>은 55종이나 되는 이본이 전하는데, <수궁가>, <별주부전>, <토생원전>, <토별소수록>, <구토지설>, <토끼전>, <토선생전>, <토별가>, <토별산수록>, <토생전>, <토의 간>, <토처사전>, <별토전>, <토끼타령> 등 다양하다. '전'이나 '록'으로 된 제목은 소설본이며, '가'로 된 제목은 판소리 본이며, 그 기본 줄거리는 비슷하다.

-<토끼전>은 《삼국사기>》에 전해 내려오는 <구토설화>의 줄거리가 변화되면서 구전되다가 조선조 후기 소설로 정착된 것이다. 다른 나라에도 이러한 종류의 설화는 있다. 인도에는 불교설화인 용왕과 원숭이 이야기와 자라와 원숭이 이야기도 있다. 일본에는 토끼 대신 원숭이를 등장시키고 용왕이 아닌 용왕의 딸인 공주가 병에 걸렸다는 내용이다.

-'근원 설화 - 지역 설화 - 판소리 - 소설'이라는 단계를 거쳐서 <토끼전>이라는 풍자와 해학이 담긴 작품이 탄생하였다.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짧은 우화이야기들이 조선 후기 문학의 새로운 변화를 거치면서 <토끼전>과 같은 소설의 의인화된 풍자소설로 발전하였다.

-동물을 의인화한 소설로 <두껍전>, <장끼전>, <서동지전>, <까치전>, <이화전>등이 있다.

[소설의 전개]

동해 용왕이 병이 나자 토끼의 간을 먹으면 낫는다고 의사가 말했다. 용왕이 대신들을 모아 놓고 토끼를 데리고 올 사람을 찾았으나 합당한 이가 없었다. 그때 자라가 나타나서 자신이 토끼를 데려오겠다고 육지로 향한다.

-동물들의 모임에서 토끼를 만난 자라는 토기를 감언이설로 꾀어 용궁으로 데려간다. 토끼는 용궁으로 오자 결박되어 용왕과 마주하게 된다. 토끼는 자신의 간을 내놓으라는 말을 듣고 자신의 행동을 후회한다.

-그러나, 위기 속에서도 '자신의 간은 육지에 있다'는 꾀를 내어 용왕과 대신들을 속이고 다시 자라와 함께 육지로 돌아오게 된다. 바닷가 육지에 도착하자 토끼는 도망가 버리고 토끼에게 속은 자라는 탄식한다.

'김춘추와 <구토지설(龜兎之設)>

'구토지설(龜兎之設)'은 김춘추가 고구려에 포로로 잡혀 갔을 때 고구려 장수 '선도해'가 김춘추를 위해서 들려준 이야기로 《삼국사기》열전의 <김유신조>에 삽입된 설화이다. <구토지설(龜兎之設)>은 고구려에서 옛날부터 있었던 이야기이며,  '김춘추'가 위기를 이겨내는데 도움을 준 설화로 기록으로 전해진다.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는 50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천왕 설화>, <호동왕자 설화>등의 설화가 있고 <온달전>, <김유신전>, <도미전>, <설총전>등의 문학 작품들도 실려 있다.

['토끼'와 '자라'의 특성]

토끼는 영리하며 호기심이 많다. 또, 토끼는 허영심이 많아서 자라의 말에 속아 위기에 처한다. 

자라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고 끈기가 있다. 그리고, 자신의 일에 열심히 노력하는 동물로 의인화되었다.

[토끼의 꿈]

토끼는 자라의 말을 듣고 용궁으로 가려던 중 자신의 꿈에 대해 이야기한다. 배에 칼을 대고 피를 봤다는 토끼의 꿈은 앞으로 있을 토끼의 운명을 미리 암시하였다. 그러나, 자라의 이야기에 속고 자신의 호기심과 허영심 때문에 위기에 빠지게 된다. 여기서 '토끼의 꿈'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암시한 '복선'역할을 한다.

[사고력 기르기]

  • 동물을 의인화한 소설의 특징과 비슷한 소설을 알아보자.
  • 판소리계 소설과 고전 소설의 차이점을 알고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자.
  • 토끼와 자라의 성격을 비교하여 보고, 어떤 인물로 의인화되었는지 말해보자.

책줌마

2019/05/24 - [중학교 추천도서와 학습] -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는 현대 문학 작품을 '시', '소설', '수필', '희곡'으로 구분한다. 그 중에서 '소설'은 가장 대중적인 산문 문학의 형태를 가지는 문학 작품이다. 소설은 '주제', '구성', '문체'의 3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하..

rbwk.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