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작가와  창작 연대를 알 수 없는 작품이다.

2. 작품에 대하여 알아보자.

<흥부전>에 대하여 알아보자.

주제: 권선징악과 인과응보ㆍ형제의 우애를 주제로 하고 있다.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이다.

등장인물: 흥부, 놀부, 흥부 아내, 놀부 아내, 흥부 아이들, 제비 등이 등장한다.

사상적 배경: 유교 사상과 불교 사상이 나타나 있다.

공간적 배경: 충청도ㆍ전라도ㆍ경상도가 접하고 있는 지역이다.

<흥부전>은 소설보다는 희극적인 성격이 강한 소설로서 조선시대 후기 판소리 계열의 소설로서 전기적 성격을 지닌 소설이다. 조선시대 후기 일반 백성들의 삶을 소재로 하여, 판소리 형태로 전해지면서 광대ㆍ가객 등에 의해서 서민 사회의 모습과 당시 사회의 부정적인 모습을 희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서민 문학이기 때문에 대중적이며 통속적인 성격이 강하고 인과응보와 권선징악을 해학과 풍자를 통하여 익살스럽게 그리고 있다. 유교를 근본으로 하는 사회 이념을 중시하는 조선시대 문학이므로 유교적 가치관이 작품에 나타나 있다. 특히, <흥부전>은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고 있다. 선과 악의 이분법적인 구조로 인물의 성격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풍자를 통해서 웃음으로 나타내고 있다.  권선징악을 주제로 다루는 고전 소설로는 <콩쥐팥쥐>, <장화홍련전>, <옹고집전>, <사씨남정기> 등이 있다. <흥부전>은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로서 <춘향전>, <심청전>, <토끼전> 등과 함께 전해진 소설이다.

<흥부전>의 이본을 알아보자.

<흥부전>은 전해지는 형태에 따라 목판본과 활자본이 있으며, 목판본 형태의 경판본은 2가지이고, 활자본은 5 - 6종이다. 여러 이본이 전해지고 있으며, <흥보전>, <놀부전>, <흥보가>, <연의 각>, <박타령> , <박흥부전> 등이 있다.

<흥부전>과 근원 설화를 알아보자.

<흥부전>은 구전되어 오다가 사설의 성격이 강한 판소리계 소설로 구성이 된 소설이어서 여러 개의 근원 설화를 가지고 있다. <흥부전>의 근원 설화로 추측되는 설화로는 <방이 설화>, <선악형제 설화>, <동물보은 설화>, <박 타는 처녀 설화>가 있다. 그중에서 몽골의 설화라고 알려진 <박 타는 처녀> 설화에서는 착한 처녀는 흥부로 악한 처녀는 놀부로 각각 바뀌어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는 설이다.

<흥부전>의 등장인물의 성격을 알아보자.

흥부: 착한 성품을 지녔다. 경제적으로 무능력하고 현실감각이 부족하지만 도덕적 가치를 중시한다. 가난하고 소외된 서민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놀부: 제물에 대한 욕심이 많고, 인정이 없으며 관습이나 법도 무시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개과천선하여 성격이 변하고 착하게 살아가게 된다.

흥부의 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지만, 사회적 ㆍ경제적 어려움에 부딪히는 일반 서민들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놀부의 처: 심술궂고 인정이 없으며, 돈이 최고라고 여기는 인물이다.

제비: 흥부의 가난을 해결하고, 놀부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흥부전>에서 풍자와 해학이 있는 부분을 찾아보자.

첫째, 심술스러운 놀부의 행동을 나열하는 부분이다. 둘째, 가난한 흥부가 배가 고파서 부자인 형의 집에 밥 동냥을 하다가 주걱으로 뺨을 맞는 부분이다. 셋째, 가난한 흥부가 다른 이를 대신하여 매를 맞으러 갔다가 돌아온 흥부와 아내가  마주하는 부분이다. 넷째, 흥부가 제비의 부러진 다리를  고쳐주고 금은보화와 양식을 보며 흥부 가족이 기뻐하는 부분이다. 다섯째, 형 놀부가 제비 다리를 일부러 부러뜨려 복을 받으려다가 도리어 화를 당하는 부분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