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24 - [중학교 추천도서와 학습] -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는 현대 문학 작품을 '시', '소설', '수필', '희곡'으로 구분한다. 그 중에서 '소설'은 가장 대중적인 산문 문학의 형태를 가지는 문학 작품이다. 소설은 '주제', '구성', '문체'의 3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하..
rbwk.tistory.com
1. 작가에 대하여 작가 미상(고전 소설의 경우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작품들이 많다.)
2. 작품에 대하여
<심청전>
- 주제: 인과응보(因果應報)를 주제로, 앞을 못 보는 아버지에 대한 심청의 효(孝)이다.
- 주요 등장인물: 심학규, 심청, 곽씨 부인, 뺑덕 어미, 용왕
- 시대적 배경:명나라 시대이다.
- 공간적 배경:황주 도화동이다.
소설 <심청전>은 국문본 3종, 한문본 2종이 있다. 이해조의 <강상연>과 여규형의 <심청왕후전>, 신재효의 판소리, <심청가> 등이 있다.
-<심청전>은 <춘향전>, <흥부전>, <토끼전> 등과 같이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이며, <효녀 지은 설화>를 배경으로 하는 근원설화를 가지고 있는 소설이다.
[소설의 전개]
명나라 시대 황주 도화동에 심학규라는 이가 살았는데, 그는 어려서부터 앞 못보는 맹인이었다. 현숙한 곽씨 부인과 혼인하였으나 자녀가 오랫동안 없었다. 심봉사와 곽씨 부인은 정성을 들여 아이를 가지게 되었는데 그 아이가 '심청'이었다. 심청이 태어난 후 곽씨 부인은 병들어 죽게 되고 심봉사는 마을 사람들의 도움으로 심청을 키우게 된다.
-심청이 15세 되었을 때, 장승상댁으로 가서 일을 해주고 집안의 생계를 이끌어 나갔다. 어느 날, 심청이 늦게까지 돌아오지 않자 심봉사는 심청을 찾아나서다가 개울물에 빠지게 된다. 이 모습을 본 지나가던 몽운사 화주승이 심봉사 를 구하게 되고, 공양미 삼백석을 부처님께 드리면 눈을 뜰 수 있다는 말에 심봉사는 덜컥 화주승에게 공양미를 부처님께 드린다고 약속해 버린다.
-심봉사의 고민을 알게 된 심청은 뱃사람들에게 인당수의 제물이 되겠다고 하고 공양미를 받고 팔려가게 된다. 인당수에 빠진 심청은 어머니와 만나게 되고 용왕의 도움으로 연꽃 봉우리에 담겨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된다. 사람들에 의해 연꽃은 궁에 바쳐지게 되고 심청은 황후가 된다.
-한편, 심청이 죽은 후, 심봉사는 뺑덕어미를 만나게 되고 재산을 탕진하고 집에서 쫓겨나게 된다. 궁에서 맹인 잔치가 열린다는 소식에 심봉사는 힘겹게 궁에 도착하고 심청과 재회하게 된다. 심봉사는 너무 기쁜 나머지 앞이 보이게 되고, 심청과 함께 궁에서 영화를 누리며 살게 된다.
[주인공이 된 '심청']
일반적으로 고전 소설의 대분의 주인공은 지배계층을 주인공으로 한다. 그러나, <심청전>의 주인공인 '심청'은 하층계급에 속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고전 소설 속의 인물 설정의 변화는 문학이 지배계층만이 누리는 문화가 아닌 일반 계층도 문학을 즐기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심청의 성격]
아버지를 사랑하고 걱정하는 착한 심성의 소유자이다. 또한, 심봉사가 공양미 문제로 걱정하고 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으로 문제의 해결방법을 찾는 자기를 희생하는 인물이다.
[심봉사의 성격]
심봉사는 심성은 착하나 자신이 가진 신체적 한계로 인하여 무능력한 인물이다. 또한, 자신의 눈을 뜨기 위해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고 이 때문에 하나뿐인 가족인 딸'심청'까지 잃게 되는 실수를 하게 되고 이를 후회한다. 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결과를 뱃사람을 원망함으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고도 하는 인물이다.
[소설<심청전>에 나타난 사상]
<심청전>에는 다양한 사상이 포함된 소설이다. 첫째,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원시 신앙으로 '인당수'에 바치는 처녀 공양이다. 둘째, '심청'의 자기 희생으로 복을 받게 된다는 인과응보(因果應報)'사상의 불교 사상이다. 셋째, 심청의 아버지에 대한 지극한 효(孝)를 표현한 유교적 윤리관이 나타나 있다. 즉, <심청전>은 원시신앙, 불교, 유교의 관념이 모두 나타나 있는 소설이다.
['심청'의 신분 변화]
'심청'은 아버지를 위해 인당수의 제물로 바쳐진 이후,용왕의 도움으로 살아나게 되고 황후의 자리까지 오르게 된다. 이는 신분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결혼이나 다른 방법을 통해서 변화될 수 있다는 신분의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평민도 왕후가 될 수 있다'는 신분 상승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이 때문에 여성들이 많이 읽어서 독자층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인당수'의 의미]
<심청전>에서 '인당수'는 주인공 심청이 죽음에 이르는 공간이다. 그러나, 인당수에 빠짐으로 어머니와 재회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용왕의 도움으로 '심청'이 다시 살아날 때에도 연꽃 속에 들어가 바다를 통하여 다시 살아나게 된다. 따라서, '인당수'는 '죽음과 재회, 부활'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심청전>과 설화]
《삼국사기》의 <연권녀>, <효녀지은 설화>와 《삼국유사》의 <거타지(居陀知>, <빈여양모(貧女養母)> 설화 등이 결합되어 신화에서 설화로, 설화에서 소설로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효행 소설로는 <장한절효기>도 있다.
-유사한 설화로서 인도의 불교 설화인 <<전동자 설화>>와 전라도 성덕산 관음사의 <<연기 설화>>가 있다. 이러한, 불교의 설화와 우리 고유의 효녀 설화가 함께 영향을 주어서, 우리의 고전 소설이 형성되었다.
[사고력 기르기]
<심청전>에 나타난 사상적 요소를 찾아 보자.
<심청전>과 다른 고전 소설의 차이를 알아보자.
'심청'과 '심학규'의 문제 해결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
2019/06/01 - [초등 저학년 추천도서와 학습] - 심봉사와 청이
심봉사와 청이
[주 제] 효와 인과응보 [등장인물] 심봉사, 청이, 용왕님, 스님, 임금님, 김봉사 [이야기의 배경] 조선시대 시골 마을 [이야기 줄거리] 옛날에 청이라는 마음씨 착한 아이가 앞 못보는 아버지와 단둘이 살았어요...
rbwk.tistory.com
'초등 고학년 추천도서와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부전>고전 소설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07.02 |
---|---|
[홍길동전]작가와 고전소설 작품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07.01 |
[토끼전]고전 소설 속의 사상과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6.07 |
초등학생 독서, 어떤 책을 읽고 있나요?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