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쓸 때 문장 부호를 사용하면, 정확한 이해를 돕는다. 오해를 불러 일으킬 만한 곳에 적절하게 문장부호를 사용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문장부호의 사용으로 강조나 구분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글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장 부호는 크게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줄임표, 이음표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문장 부호의 이름과 그 쓰임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마침표]
1. 마침표 ( .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 월, 일'을 표기할 때 쓴다. 예로 { 2019. 8. 15. }가 있다.
-표시문자 다음에 쓴다. 예로 1. 느낌표 , ㄷ. 줄임 기호 , 나. 지역 등이 있다.
-준말을 나타내는 데 쓴다.
2. 물음표 ( ? )
-의심이나 물음를 나타내며 직접 질문할 때 쓴다.
-반어를 나타낼 때 쓴다.
-특정한 어구, 또는 내용에 대한 의심이나 빈정거림, 비웃음 등을 표시할 때 쓴다.
-적절한 말을 쓰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에 소괄호( )안에 쓴다.
3. 느낌표 ( ! )
-감탄이나 놀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낼 때 쓴다.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감탄사나 감탄형 종결어미 다음에 쓴다.
-강한 명령문 또는 청유문에 쓴다.
-감정을 넣어 다른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쓴다.
-의문을 나타내는 말로써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쓴다.
[쉼표]
1. 쉼표( , )
-제시어 다음에 쓴다.
-같은 자격을 가진 어구가 나열될 때 쓴다.
*단, 조사로 연결될 때는 쓰지 않음.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쓴다.
-바로 뒤에 오는 말을 꾸미지 않을 때 쓴다.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앞의 말과 뒤에 오는 말의 구성이 도치된 문장에 쓴다.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문장 첫머리의 접속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쓴다.
-문장의 중간에 속한 구절의 앞뒤에 쓴다.
되풀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쓴다.
-문맥상 끊어서 읽어야 할 곳에 쓴다.
-숫자를 나열할 때 쓴다.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 쓴다.
-수의 폭이나 개략적인 수를 나타낼 때 쓴다.
2. 가운뎃점( ㆍ )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낼 때 쓴다
3. 쌍점 ( : )
-내포되는 종류를 들 때에 쓴다.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 쓴다.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쓴다.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
-의존 명사 '-대'의 자리에 쓴다. 예) 한국:일본 (한국 대 일본)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시와 분', '장과 절'을 구별할 때나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는 쌍점의 앞과 뒤를 붙여 쓴다.
예)창세기 3장 16절 ->창세기 3:16 ,3대 9 -> 3:9
4. 빗금( / )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쓴다.
-분수를 나타낼 때에도 쓴다.
예) 1/3 (3분의 1)
[따옴표]
1. 큰 따옴표 ( " " )
-남의 말을 인용할 때에 쓴다.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낼 때 쓴다.
2. 작은 따옴표 ( ' ' )
-마음 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인용한 말 가운데 또 다시 인용한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쓴다.
[묶음표]
1. 소괄호
-원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때 쓴다.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쓴다. 예로 (가) , (ㄱ), ( a )가 있다.
2. 대괄호
2-1: ( [ ] ), 겹꺽쇄( [[ ]] ), 검정 꺽쇄(【 】 )
2.2: 갈매기 묶음 ( < > ), 겹갈매기 ( 《 》 )
2-3: 낫묶음/낫표 (「 」), 겹낫표( 『 』 )
[줄임표]
1. 점줄표( ...... )
2.물결표, 내지표( ~ )
3. 어깨점( ` ) 예) `19 (2019년)
[이음부호]
1. 줄표,대시( --- ): 삽입어 / 통합어 / 반복 설명 / 시간의 경과 / 대사의 앞부분에 / 여운, 생략을 나타낼 때에 쓴다.
2. 겹줄표, 겹대시( === )
3. 붙임표( - ) 예)잡 - 히 - 다
4. 겹붙임표( = )
문장 부호의 원고지 사용법을 헷갈려 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이 있다. 대표적인 문장 부호의 원고지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문장 부호의 띄어 쓰기(원고지사용법)]을 알아보자.
1.반 칸 부호
: 원고지에 쓸 때, 반 칸 부호와 다음 글자는 붙여 쓴다.
■반 칸 부호의 종류
-
마침표( . )
-
쉼표( , )
-
작은 따옴표( ' ' )
2. 한 칸 부호
: 원고지에 쓸 때, 한 칸 부호와 다음 글자는 띄어 쓴다.
■한 칸 부호의 종류
-
느낌표( ! )
-
물음표( ? )
-
큰 따옴표( " ")
3. 큰 따옴표( " " )와 작은 따옴표( ' ' )에 대하여 알아보자.
■큰 따옴표( " " ) 원고지 쓰기를 알아보자.
-문장을 쓸 때 회화를 직접 인용할 경우, 큰 따옴표를 사용할 때는 줄바꾸기를 하여 다음줄에서 한 칸 들여서 문장부호를 쓰고 회화의 내용을 쓴다.
-회화의 내용에 포함되는 원고지의 줄은 앞쪽에서 모두 한 칸씩 들여쓰기를 한다. 원고지에서 화화의 내용은 모두 따옴표에 안에 포함되도록 하여 쓴다.
-큰 따옴표가 들어가는 대화문이 이어질 때, 짧은 문장이어도 원고지의 한줄에 쓰지 않는다.
-큰 따옴표 다음에 오는 조사는 원고지 다음줄에 쓰며 '-라고'가 온다. 대화나 인용되는 것이 직접적인 성격이 강하기 따문이다.
*예외 1) 줄표( --- )와 점줄표( …… )는 두 칸을 사용한다.
*예외 2) 마침표, 쉼표, 따옴표 , 묶음표가 원고지줄의 마지막 칸에 올 때는 다음줄로 넘기지 말고 글자와 함께 쓴다.
■작은 따옴표( ' ')원고지 쓰기에 대해서 알아보자.
-작은 따옴표 앞에 마침표( . )가 있을 경우에는 마침표와 함께 원고지 한 칸에 붙여서 쓸 수 있고 , 원고지 앞 첫 칸에 올 경우에는 앞줄의 끝칸에 붙여 쓴다.
-작은 따옴표 다음에 조사가 오면 붙여 쓰고 단어가 오면 띄어 쓴다. 조사는 단어에 붙여 쓰는데 문장부호도 단어와 같이 원고지 한 칸의 자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느낌표와 물음표 같은 한 칸 문장부호 다음에는 띄어 쓴다. 느낌표와 물음표가 작은 따옴표와 함께 원고지 앞줄 첫번째 칸에 올 때는 원고지 앞줄 끝칸에 붙여 함께 쓴다.
-마침표와 작은 따옴표가 원고지 앞 첫칸에 올 때는 앞 줄 끝칸에 마지막 글자와 함께 마침표와 작은 따옴표를 한 칸에 함께 쓴다.
[숫자의 문장부호 사용]
1. 숫자의 마침표( . ) 사용을 알아보자.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년, 월. 일'을 표시할 때 마침표( . )를 쓴다.
예) 1980. 8.15. (1980년 8월 15일)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는 마침표( . )를 쓴다.
예) 3 . 1운동 8 . 15 광복절
2. 숫자의 쉼표( , ) 사용을 알아보자.
-
숫자를 나열 할 때 쓴다. 예) 1, 3, 4, 5
-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 쓴다. 예) 5, 6세기 6,7개
-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 쓴다. 예) 12,567
-
숫자는 세 자리수 마다 문장부호를 찍어주며, 반드시 세 자리마다 콤머( , )를 찍을 필요는 없다. 만 단위부터 세 자리수 마다 찍어 주어도 된다.
3. 숫자의 쌍점( : ) 사용을 알아보자.
'시와 분', '장과 절'을 구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 쓴다.
-
오후2 : 10 (오후 2시 10분)
-
창세기 3 :16 (창세기 3장 16절)
-
대비 3: 9 (3대 9)
4. 숫자의 빗금( / ) 사용을 알아보자.
분수를 나타낼 때 쓴다.
예) 1/4분기 1/5(5분의 1)
5. 숫자의 붙임표( - ) 사용
예)1월 15일 - 1월 31일
'학습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 6]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하는 소설 문학작품을 알아보자 (0) | 2019.06.14 |
---|---|
[참고 5] 6.25 전쟁을 내용으로 하는 소설과 시 문학 작품을 알아보자 (2) | 2019.06.10 |
[참고 4]영어 알파벳과 숫자의 원고지 쓰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06.08 |
[참고 2]원고지 쓰기의 원칙과 문장 교정 기호(교정 부호) (0) | 2019.05.29 |
[참고 1]알아두면 도움되는 헷갈리는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 (6) | 2019.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