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맞춤법
[사이시옷' ㅅ`의 문제]
한글 맞춤법에서는 6개를 외워서 쓰라고 나와 있다. 가장 헷갈리는 문제 중의 하나이다.
1. {순우리말 +순 우리말 }형식의 단어 조합일 때 사이시옷'ㅅ'을 쓴다.
2. {순 우리말 + 한자말} 형식의 단어 조합일 때 사이시옷'ㅅ'을 쓴다.
3. {모음종성 +' ㅅ' + 된소리 }형식의 단어 조합일 때 사이시옷'ㅅ'을 쓴다.
: 냇가, 햇수, 전셋집, 나룻배, 나뭇가지, 잿더미, 조갯살, 멧돌, 쇳조각
4. {모음 종성 + /ㄴ/ }단어 조합일 때 {'ㅅ' + ㄴ , ㅁ } 형태로 나타난다.
:잇몸, 제삿날, 툇마루, 뱃놀이, 툇마루, 양칫물, 뒷머리
5. {모음종성 + / ㄴ ㄴ / } 단어 조합일 때 { 'ㅅ' + `이`계 모음}형태로 나타난다. : 깻잎, 예삿일, 훗일
6. {한자어 + 한자어}단어는 사이시옷'ㅅ'을 쓰지 않는다.
※예외: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 6단어)는 예외이다.
[접미사' ~이/~히'의 문제]
구분하여 쓰는 다음의 원칙을 알아두자.
- '~이'가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ㅅ'다음에 온다. 2. ' ㅂ '불규칙 다음에 온다. 3. '마다'의 뜻 다음에 논다. 4. 자음 'ㅈ, ㅌ, ㅍ, ㅎ '다음에는 '~이'가 온다. *'밝히'는 예외이다.
- '~히'가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ㄴ ㅁ ㅂ ㅇ 다음에 온다. 2. 한자 그럴' 연 '다음에 온다. 3. 한자말에는 모두 '~히'가 온다.
[된소리]
-까닭없이 나는 된소리는 된소리로 적는다.
-두 모음 사이에 올 때 자음이 된소리로 발음된다. 예로 '어깨, 오빠, 소쩍새'가 있다.
-자음 'ㄴ, ㄹ, ㅁ, ㅇ '의 뒤의 자음은 된소리로 발음된다. 예로 '살짝, 몽땅, 산뜻하다'가 있다.
-'ㄱ '받침과 'ㅂ'받침 뒤에 오는 자음은 된소리가 된다.
-같은 음절, 비슷한 음절은 된소리로 소리난다. 예로 '똑똑하다, 쓱싹하다'가 있다.
-딴 음절은 예사소리가 난다. 예로 '국수, 깍두기'가 있다.
[준말 : 줄어서 쓰이는 말]
1. 자음: 받침으로 줄일 수 있다.
2. 모음: 모음탈락으로 준말이 된다. 모음축약으로 준말이 된다.
3. 'ㅅ'불규칙과 탈락으로 준말이 되며 '아/어'를 줄이는 것은 아니다.
4'. -낫다'는 '나아, 나아서, 나았다 '이다.
5. '-젓다'는 '저어, 저어서, 저었다'이다.
※준말로만 쓰이는 말은 다음과 같다.
깨다(까이다) / 뀌다(꾸이다) / 건내다(건너이다) / 내다(나이다) / 나뉘다(나누이다) / 놀래다(놀라이다) / 대다(닿이다) / 바뀌다(바꾸이다) / 비취다(비추이다) /쐬다(쏘이다) / 없애다(없이하다) / 재다(자히다) / 채다(차이다) / 패다(파이다) / 폐다(펴이다)
[한자음]원음 -> 변음
.-두음법칙은 우리 말의 첫소리에 오지 못하는 다음의 법칙으로 'ㄴ'두음 법칙과 'ㄹ'두음 법칙 두 가지가 있다. 예로 {라 -> 나(나열, 냉방) / 로 -> 노(노인) / 루 -> 누(누각)/ 르 -> 느(늠름) }으로 변한다.
※두음법칙 예외 : 의존명사에 한정한다.
■~냥(두냥) ■ ~년(해 년, 십삼 년째)
■~리(동네 리, 몇 십 리) ■~리(이치 리, 그럴 리가 없다)
■~리(마일 리, 예 1리는 1.6km이다)
-{한자어 +한자어} 형태는 두음법칙이 적용되며, 예로 '희희낙락, 무실역행, 급행요금'이 있다.
-겹치는 음절어는 두음법칙이 적용된다. 예로 `유유상종, 누누이`가 있다.
-'렬 / 률'의 사용은 구분하여 사용한다.
=>모음 다음에 올 때는 '열'이 온다. 예로 '배열, 치열'등이 있다.
=> 'ㄴ'다음에 올 때는 '율'이 온다. 예로 '분열, 운율, 백분율, 비율' 등이 있다.
-'난/란'의 사용은 구분하여 사용한다.우리말 다음에 올 때는 '난'이 온다. 예로 '어머니난, 어린이난' 등이 있다. 한자말 다음에 올 때는 '란'을 사용한다. 예로 '문화란, 시사란' 등이 있다.
-'능/릉'의 사용은 '능욕, 능지 처참'과 '정릉/태자릉'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있다.
2. 띄어쓰기
[붙여서 쓰는 것]
-조사: 명사 등의 체언에 뒤에 오는 것으로 붙여서 쓴다.
-어미: 어간(줄기)에 붙어 활용하는 것으로 붙여서 쓴다.
-접미사: 어근(뿌리)에 붙어 쓰이는 것으로 '조사, 어미, 접미사'가 접미사에 해당하며 이들은 붙여서 쓴다.
-첩어:'-디-'형태의 글에서 겹쳐 쓰이는 말과 '매일매일'의 의미를 지니는 말은 붙여서 쓰인다.
-복합어: 늘 붙어서 쓰이는 단어들을 가리키며 이들 단어는 붙여서 쓴다.예로 '물난리, 굶주리다'등이 있다.
-고유명사: 사람이름, 땅이름, 사건이름, 책이름은 붙여서 쓴다. 예로 '이순신, 세계이차대전' 등이 있다.
[띄어서 쓰이는 것]
-의존명사: 관형어 뒤에 쓰이는 것을 말하며 이는 띄어서 쓴다. 예로 '그럴 수(도)'가 있다. *관형어란?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의 앞에서 체언의 내용을 꾸며주는 구실을 하는 문장 성분을 가리킨다.예시로 {예쁜 (관형어) 꽃(체언)}를 들 수 있다.
-보조용언: 주용언 뒤에 쓰이는 것으로 이는 띄어서 쓴다. 예로 '보고 오다'를 들 수 있다.
-이음말: 글을 있거나 낱말을 잇는 것으로 이음말은 띠어서 쓴다.예로 '겸, 및'이 있다.
-묶음말: '등등'따위의 앞에 든 것을 묶음말을나타내는 말은 띄어서 쓴다.
[명사의 띄어쓰기]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은 띄어 쓴다.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띄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전문 용어는 띄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서 쓸 수 있다.
[문장 부호의 띄어 쓰기(원고지사용법)]
-반 칸 부호: 원고지에 쓸 때, 반 칸 부호와 다음 글자는 붙여 쓴다.
-반 칸 부호의 종류는 { 마침표( . ) / (쉼표( , ) / (작은 따옴표( ' ' ) }가 있다.
-한 칸 부호 : 원고지에 쓸 때, 한 칸 부호와 다음 글자는 띄어 쓴다.
-한 칸 부호의 종류는 { 느낌표( ! ) / (물음표( ? ) (큰 따옴표( " ") }가 있다.
*원고지에 글을 쓸 때를 생각해 보면, 반 칸 부호는 크기가 작아서 다른 글자와 구분하여서 굳이 따로 한 칸띄어서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한 칸 부호는 크기가 원고지 한 칸을 차지하므로 다른 글자와 구별하기 위해서 일반 글자와 같이 띄어쓰기를 한다.
[숫자 쓰기와 띄어쓰기, 숫자의 문장부호 사용법]
1. 숫자( 단위): '억'뒤, '만'뒤에 띄어 쓴다. 예로 {십이만 사천 -> 12만 4000 }, {십삼억 삼천이백오십육만 이천칠백구십오 -> 13억 3256만 2795 )}를 들 수 있다.
2. 숫자의 마침표( . ) 사용을 알아보자.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을 표시할 때 마침표(.)를 쓴다. 예로 {1980. 8.15. (1980년 8월 15일)}을 들 수 있다.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는 마침표( . )를 사용한다. 예로 { 3 .1운동, 8 .15 광복절}을 들 수 있다.
3. 숫자의 쉼표( , ) 사용을 알아보자.
- 숫자를 나열 할 때 쓴다. 예로 { 1, 3, 4, 5}가 있다.
-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 쓴다. 예로 {5, 6세기, 6,7개}가 있다.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 쓴다. 예로 { 12,567 }가 있다.
4. 숫자의 쌍점( : ) 사용을 알아보자.
시와 분, 장과 절을 구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 쓴다. 예로 { 오후2 : 10 (오후 2시 10분) }, {창세기 3 :16 (창세기 3장 16절)}, {대비 3: 9 (3대 9)}가 있다.
5. 숫자의 빗금( / ) 사용을 알아보자.
분수를 나타낼 때 쓴다. 예로 { 1/4분기, 1/5 }가 있다.
6. 숫자의 붙임표( - ) 사용을 알아보자.
'내지'라는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예로 {1월 15일 - 1월 31일 }가 있다.
3. 문장부호
문장부호는 3대 표기 영역인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문장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쉬운 글이 될 수 있고, 오해를 막고 정확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또, 문장 부호의 사용은 글을 시각화시켜서 글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돕는다.
[부호들의 체계]
1. '맺음부호'를 알아보자.
-맺음부호 유형: 마침표( . ), 쉼표( , ), 쌍점( : ), 물음표( ? ), 느낌표( ! ), 물느낌표( ?! ), 느물음표( !? ), 쌍느낌표( !! )가 있다.
-마침표 생략: '표제나 표어/ 명칭만 열거 / 간접 인용, 짧은 인용 / 문장 속에서 하나의 어절로 이루어진 말'일 때 마침표를 생략한다.
2. 이음부호를 알아보자.
--(줄표,대시): '삽입어 / 통합어 / 반복 설명 / 시간의 경과 / 대사의 앞부분에 / 여운, 생략' 할 때 이음부호를 사용한다. 이음부의 종류로 다음과 같은 부호들이 더 있다. { ===(겹줄표,겹대시) / - (붙임표) : 잡 - 히- 다 / =(겹붙임표)}가 있다.
3. 묶음부호를 알아보자.
:묶음 부호호의 종류로 { " "(큰 따옴표), ' '(작은 따옴표) / ( )(소괄호, 반달 묶음), (( ))(겹반달표), { }(중괄호) / [ ](대괄호, 꺽쇠묶음), [[ ]](겹꺽쇠), 【 】(검정 꺽쇄) / < >(갈매기 묶음), 《 》(겹갈매기) / 「 」낫묶음, 낫표 / 『 』겹낫표 }가 있다.
4. 줄임부호룰 알아보자.
: 줄임부호의 종류는 ......(점줄표) / ~(물결표,내지표) / `(어깨점) : `19 (2019년) 이 있다.
'학습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 6]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하는 소설 문학작품을 알아보자 (0) | 2019.06.14 |
---|---|
[참고 5] 6.25 전쟁을 내용으로 하는 소설과 시 문학 작품을 알아보자 (2) | 2019.06.10 |
[참고 4]영어 알파벳과 숫자의 원고지 쓰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06.08 |
[참고 3] 문장부호의 이름과 쓰임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05.29 |
[참고 2]원고지 쓰기의 원칙과 문장 교정 기호(교정 부호)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