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

1. 작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연암 박지원]

연암 박지원과  '실학'에 대해서 알아보자.

-연암 박지원은 조선 22대 정조 때의 문신이며 실학자이다. 자는 중미요, 호는 연암이다. 한양에서 박사유의 아들로 태어나 영양부사를 지냈다. 정조 4년 청나라에 다녀와서 견문록 <열하일기>, 문집으로 <연암집>을 집필하였고, 실학파 중에서 북학파(중상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실학(實學)이란?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약칭으로 '학문의 연구는 현실에 바탕으로 두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사회 경제적 혼란을 해결하지 못하는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반발에 의해 실학의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실학은 청나라를 통해 전해진 '서학(西學)'과 청나라의 '고증학(考證學: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의 영향을 받았다. 실학은 '중농학파(重農學派)'와 중상학파(重商學派:북학파)'로 나누어진다. 중농학파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을 목표로 토지의 개혁과 농민의 안정을 지향하고 있으며, 주요 학자와 작품으로는 유형원<반계수록>, 이익 <성호사설>, <여유당 전설> 등이 있다. 중상학파는 '이용후생(利用厚生)' 목표로 상공업의 발달과 부강한 나라의 건설을 주장하고 있으며, 주요 학자는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북학의> 등이 있다.

 

2. 작품에 대하여 알아보자.

<허생전>에 대하여 알아보자.

<허생전>은 '허생'이라는 인물이 살고 있는 시대와 그의 행동을 통해서 조선시대 후기의 생활과 경제, 그리고 정치를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의 해결 방안까지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소설이 시대상의 비판과 함께 문제의식을 가지고 글을 쓰지만, 그 해결책에 대해서 논하는 소설책은 찾아보기 쉽지가 않다. 그러나, 연암 박지원은 자신의 글을 통해서 시대를 더 발전된 방향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허생전>에 나타난 조선시대 후기 사회와 경제에 대하여 알아보자.

<허생전>에 등장하는 '허생'이라는 인물의 경제 활동과 경제 개념을 보면 현대 사회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경제 활동과 경제 개념들이 주인공의 자세한 경제 활동 방법의 묘사를 통하여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근대 자본주의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인 '독과점(獨寡占)'과 '매점매석(買占賣惜)', 그리고 수요와 공급의 곡선에 따른 '가격의 조정' 등이 현실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경제 활동의 범위를 국내뿐만이 아니라 국외인 일본으로 확장하여 외국과의 교역을 통한 '국제 무역'의 이로운 점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학문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글만 읽고, 집안의 경제와 살림살이는 돌보지 않는 '양반들의 무능함'을 작품을 통해서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등장인물 '허생'을 '양반(兩班)'에서 '상인(商人)'으로 신분을 변화시켜서 경제 활동을 참여하게 하여 한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억압된 신분제도보다, 작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국가의 실현과 국가 발전을 위해서 경제 활동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실학의 이념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정치에 있어서도 '명나라'와의 교류를 통하여 '비판적인 국가 간의 교류활동'을 제시하여 나라가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지은이:연암 박지원(1973 - 1805) 이다

주제 :상업경제의 필요성과 실학사상 강조하고 있다.

-시대적 배경: 조선 시대 후기이다.

-사상적 배경: 실학 사상을 배경으로 한다.

-공간적 배경: 조선의 각 지역, 일본 등이다.

- 시점 :전지전 작가 시점(고전 소설의 경우 전지적 작가 시점의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허생전>은 박지원이의 한문소설로서 《열하일기》권 10의 <옥갑야화>에 제목이 없이 수록된 이야기이다. 이후에 전해내려오면서 <양반전>, <호질>과 함께 박지원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박지원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로서 <허생전>에는 그의 사상이 드러나 있으며, 그의 작품은 풍자성이 강하고 사실적이다.

[주요 등장인물]을 알아보자.

-허생: 경제력이 없는 무능력한 양반의 대표적인 인물. 남산 밑 묵적골에 사는 가난한 선비이다. 변씨 상인에게서 1만냥을 꾸어 매점매석과 독과점 형태의 경제 활동을 하여 경제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다. 또한, 변산 반도의 도적떼들을 무인도로 이주시키고 살 곳을 제공해 주고 살아갈 수 있는 생활 여건을 마련해 준다. 변씨 상인의 소개로 어영대장 이완을 만나 3가지 방법의 부국의 방법을 제시하지만 이완의 대답에 실망을 느끼고 이후 사라져 버린다.

-허생의 부인: 현실적인 인물이며, 글만 읽는 경제적으로 무능력한 허생에 대하여 비판하는 태도를 취하는 인물이다.

-변씨 상인:한양 제1의 부자. 허생을 초라해 보이는 행색의 외모가 아닌, 허생에게서 나타나는 당당한 태도와 경제활동 참여 결과롤 보고 허생에게 호감을 가지는 인물. 변씨 상인은 허생에게 조건없이 1만냥을 빌려주는 대범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어영대장 이완에게 허생을 소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완(어영대장):조선 효종과 인종 때에 살던 실존 인물로서 소설 속에서 효종의 명령으로 인재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일물이다. 변씨 상인의 소개로 허생을 만나지만, 허생의 물음에 긍정적인 답변이나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못 하여 허생에게 실망을 안겨주는 인물이다.

-도둑떼 수령 : 변산 지방에서 도둑떼를 거느리는 수령. 허생을 만나 무인도에서 새로운 터전을 얻고 도적의 생활을 청산한다. 함께 한 무리들과 새로운 삶을 살게 되며, 허생을 존경하는 인물이다.

[사고력 기르기]

-'허생'의 시간과 공간이동에 따른 의식 흐름의 변화를 알아보자.

-<허생전>의 내용을 통하여 '독과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해결방안을 찾아보자.

-이상주의적 학문이었음에도 '실학'이 조선시대 후기에 빠르게 확장되지 못하였던 이유를 알아보자.

-실학의 학파 '중농주의'와 '중상주의'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현대 사회 경제와 관련하여 설명해 보자. 

2019/05/24 - [중학교 추천도서와 학습] -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 고전 소설]한국 고전 소설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는 현대 문학 작품을 '시', '소설', '수필', '희곡'으로 구분한다. 그 중에서 '소설'은 가장 대중적인 산문 문학의 형태를 가지는 문학 작품이다. 소설은 '주제', '구성', '문체'의 3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하..

rbwk.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