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수학 능력 시험에서 첫 번째 시험시간은 언어영역이다. 수능 언어 영역의 시험에 주어진 시간은 80분이다. 수능 언어 영역 시험은 80분 동안에 16면에 인쇄된 제시된 지문을 읽고 45문제를 풀어야 한다.
-수능 언어 영역의 경우, 시험 출제 문항 수가 다른 과목에 비해 시험 문항 수가 많지 않지만, 제시된 지문의 길이가 길고, 긴 서술형의 문제의 비중이 높다. 따라서, 한 문제당 문제 풀이 시간이 다른 과목에 비해 더 소요될 수도 있다. 언어영역에서 문제 풀이 시간 배분을 잘 못 하여서 문제를 풀지 못하거나, 문제가 너무 어렵게 출제되어 힘겹게 1교시인 언어 능력시험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대학 수학 능력 1교시 시험 과목인 언어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으면, 이어지는 다음 영역의 시험 시간에 문제를 풀 때에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시험 볼 때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 시험 중에 적당한 긴장감을 가지는 것은 괜찮다. 그렇지만, 과도한 긴장감은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주어서 시험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을 주고 이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위와 같이 대학 수학 능력 시험에서 언어능력 시험은 그 시험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다른 영역의 점수에도 영향을 주는 위치에 있는 중요한 시험이다. 이러한 언어 영역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수능 언어 능력 시험의 성격과 문제 출제의 의도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첫째, 수능 언어 능력 시험은 중고등학교 교과 과정의 지식의 개념과 원리를 알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이라는 평가를 통하여, 중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학습하는 개념과 원리를 알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학생 개인의 학습능력과 학습상태에 따라 시험 대상자를 성적별로 구분하는 시험인 것이다.
수능 언어 능력시험에 포함되는 시험문제의 출제 범위는 기본적으로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들과 비문학 작품들을 읽고, 배운 지식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시험 문제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의 경우는 학습된 지식을 바탕으로, 처음 접해보는 새로운 글에도 학습된 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즉, 문제 풀이에서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난이도가 높은 문제인 것이다.
또한, '화법', '작문', '문법' 등의 '말하기'와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의사소통 능력과 그에 필요한 기본적인 중고등학교 교과 학습 지식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이에 대한 활용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둘째, 중고등학교 교과 과정의 지식들을 바탕으로 대학교의 전문적인 교과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 능력을 갖추었는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전문적인 상위 교육기관인 대학교의 교과 교육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전공 서적을 학습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학습역량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대학교에 입학하여서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읽기 능력과 기초지식을 처음부터 다시 배우지는 않기 때문이다.
대학교는 사회에서 필요한 전문적인 인력을 육성하고 교육하는 기관이므로, 각 대학교의 학과마다 요구하는 기초 학습 능력의 수준이 다르고 그 기본적인 것을 평가하는 기준이되는 것이 학생부 종합 전형과 함께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인 것이다. 즉, 전공 서적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기본이고 전공 서적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학습이 가능한 인재를 대학교에서는 선별하여 재학생의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전공 서적의 책을 읽고 이해, 요약은 물론이고, 의사소통 능력 중의 하나인 말하기와 쓰기 능력이 필요한 발표나 토의, 토론 등의 참여 활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능력이 갖추어져 있어야 문제 풀이를 하고 답을 찾을 수 있는 성격의 문제들이 수능 언어 능력시험의 문제로 출제가 되는 것이다.
-셋째, 언어 능력 시험은 읽기 영역의 평가 비중이 높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언어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 사항은 읽기 능력의 평가이다. 읽기 능력의 분별력을 기르고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긴 지문의 제시 글과 문제를 80분이라는 제한 시간을 두어 평가하는 것이다.
책을 읽고 주제를 파악하는 활동, 책을 읽고 요약하는 활동,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어휘력 활용 학습 활동 등의 읽기 능력이 문제화되어 출제되는 것이다. 언어 능력 시험의 40%이상이 읽기 능력, 즉 글을 읽고 정보를 처리하는 일련의 사고 과정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이것이 언어 능력 시험 대비 학습을 위해서는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이다. 읽기 능력의 평가는 두 번째에서 언급한 대학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의 전문 교육 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능력과도 관련이 있다. 전공 서적의 책을 학습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조건 중의 하나가 읽기 능력이기 때문이다.
수능 언어 영역 시험의 개괄적인 문제 출제 형태와 문제를 출제할 때 어떤 방향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요약하여 말하자면, 대학 수학 능력시험 1교시 언어 능력은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개념과 원리를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상위 교육 과정인 대학교에서 교과 학습을 위해서 요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시험인 것이다.
이와 같은 사항들의 수능 언어 능력의 평가 기준을 고려하면 수능 언어 능력 시험을 준비하는 방법과 학습 범위가 정해질 것이다. 수능 언어 능력 시험을 준비하려 한다면 시험 문제 출제의 지향점을 고려해 보기를 바란다.
'고등학교 추천도서와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한국 문학의 흐름과 특징을 알아보자 (0) | 2019.06.14 |
---|---|
[수능 언어영역] 비문학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0) | 2019.06.13 |
[문학이론]소설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6.06 |
[허생전]고전 소설 속의 사상과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5.20 |
[고등학교 1학년 ]책읽기 전에 이것만은 알아두고 책을 선택하자 (0) | 2019.05.13 |